자유게시판

이전 권학봉선생님께 질문드렸던 실내조명 작업 결과물 올려드립니다.

작성자 정보

  • 이한규 작성
  • 58.♡.105.32 아이피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제가 협업하고 있는 더크루바버스튜디오(insta:@thecrewbarberstudio) 대표님께서 판매하는 바버 체어 제품사진 촬영의뢰를 해주셔서 작업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지금까지 한번도 스튜디오 제품 사진은 촬영해본적이 없기에 완전히 막막한 상황이었는데, 저번 5월말 강의오셨을때 직접 방문하여 물어봤던 여러가지 사항이 크게 도움이 되었었습니다.

당시 권학봉선생님께서 결과물 완성될시 이곳 스트로비스트코리아에 업로드 해보아라 하셔서 한번 피드백 부탁드려보겠습니다!


조명 세팅은 지속광(바버샵에 돌아다니던 링라이트)+스트로보(고독스 v860ii+소프트박스)였습니다. 복잡한 방식은 포기하고 양 옆에서 조명을 치는 방식으로 작업했는데, 둘의 광량을 맞추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습니다..

직광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소프트한 그림자가 나오지 않아 둘다 천장 바운스를 시켰습니다(천장높이 4M 정도). 소프트박스 사이즈가 조금 작고 스탠드 높이가 2.6미터 최대 정도라 충분한 거리 확보가 되지 않는듯 싶었습니다.

노출 없는상태에서 배경+노출주고 피사체+반사 제거 위해 뒤에서 검은천 들고 찍은 사진 이렇게 세개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만든 결과물입니다. 검은 천 이야기는 권학봉선생님이 해주셨는데 이번 작업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품 출처: 컨티넨탈바버기어 (insta: @continentalbarbergear)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2_1299.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2_6562.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3_082.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3_4829.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3_9238.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4_0673.jpg

 

 

d13be29df223cc01dcd12909862ea167_1719324064_5161.jpg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 힘들었던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진 몇 장이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는 초보적인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태블릿 등을 이용해 현장에서 바로 결과물을 확인하며 진행했으면 좋았을 건데, 첫 작업이라 그런 부분을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2. 여러 장 합성을 위해 경계면을 딸 때, 개체 선택으로는 경계면이 깔끔하게 따지지 않고 약간씩 밀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지금은 그걸 일일이 브러쉬로 수정해주며 하다 보니 작업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지고 있는데 뭔가 더 나은 방법이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3. 당시 촬영 직전에 최대한 깨끗하게 닦았는데도 시트 위에 앉은 먼지라던가, 금속부위 흠집 등이 다수 보이는게 상당히 거슬립니다. 이것 역시 일일히 수작업으로 날려주는 중인데, 조금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방법 있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고수분들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2

권학봉님의 댓글

  • 권학봉
  • 아이피 171.♡.247.212
  • 작성일
네, 훌륭한 결과물 잘 보았습니다.
어려운 환경에서 이렇게 멋지게 결과물을 내주셨는데 그만큼 많은 노력을 기울인게 보이는것 같네요.

아무튼, 스튜디오 작업은 환경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 좋은 장비로 할 수록 쉬워지는데, 부족한 환경에서도 이정도 작업을 하신것은 말씀 주신대로 여러장을 촬영해서 좋은 부분만 골라서 합성한 노력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초점 같은경우에는 정말로 많은 실수를 하는부분이죠. 저도 대충 찍다가 보면 초점 깜빡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항상 주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2. 우선 최대한 삼각대를 이용해서 촬영해, 여러장을 겹칠때 완벽하게 동일한 화면 구성을 하면 좀더 편합니다. 두번째로 포토샵의 자동정열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이때 임시로 노출값을 잘보이게 해놓고 나중에 원하는 노출로 바뀌어 주어야 해요, 너무 어둡거나 밝으면 컴퓨터가 잘 정렬을 못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고품질은 역시 수작업일 수밖에 없습니다. ^^;;;

3. 먼지 처리는 이번에 새로 낸 개정판 보정책 552페이지에 필터-먼지 스크래치 제거 필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자세하게 소개 되었는데, 해당 키워드로 검색해 보시면 사용법이 자세히 나와 있을거에요.

이렇게 잊지 않고 피드백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글은 강좌/정보 게시판에도 복사해 두겠습니다. ^^

h님의 댓글의 댓글

  • h
  • 아이피 58.♡.105.32
  • 작성일
감사합니다.
2번의 경우 실제로 노출 그대로인 상태에서 정렬을 시키니 포토샵이 헛짓거리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ㅎㅎ... 이럴바엔 걍 정렬 하지 말고 그대로 하자! 싶어 그렇게 하고 있는데 실제로 삼각대 촬영시에도 아예 셔터 누르는것까지 무선 릴리즈(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해...)로 한것과 아무생각없이 셔터버튼을 직접 눌러서(당연히 2초 딜레이를 줬는데도) 찍은 것하고 결과물 정렬 상태과 극명하게 차이난다는 사실을 지금 느끼고 있습니다...

향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궁극적 해결책으로 촬영시 태블릿을 이용해 무선통신 어플을 연결후 무선 릴리즈 촬영+바로 태블릿 통해 결과물 확인이란 과정을 거치며 실수를 줄여나가야 겠다는 생각입니다.

피드백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체 1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